가정폭력

1. 가정폭력의 개념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이에 관하여는 일반 형법의 특별법으로서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이하 동법이라 한다)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정구성원에는 배우자(사실상 혼인관계에 있는 자를 포함) 또는 배우자 관계에 있었던 자, 자기 또는 배우자와 직계존비속관계(사실상의 양친자관계를 포함)에 있거나 있었던 자, 계부모와 자의 관계 또는 적모와 서자의 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자, 동거하는 친족관계에 있는 자가 모두 포함됩니다.

또한, 가정폭력범죄란 가정폭력으로는 형법상의 상해, 폭행, 유기와 학대, 체포감금, 협박, 명예훼손, 주거침입, 사기, 공갈, 손괴 등 29가지의 범죄와 아동복지법상의 금지행위(아동에게 구걸시키거나 아동을 이용한 구걸행위)를 위반 한 범죄 및 이들 죄에 대하여 가중 처벌하는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상의 범죄 등을 말합니다.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방법

피해자본인은 물론 누구든지 가정폭력 범죄를 알게 된 때에는 이를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ㅍ해자의 법정 대리인이 폭력행위자인 경우 또는 폭력 행위자와 공동하여 가정폭력 범죄를 범한 경구에는 피해자의 친족이 고소할 수 있습니다.

피해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은 가해자를 고소할 수 있는데, 일반형법상의 범죄와는 달리, 자기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부모, 시부모, 장인, 장모 등)에 대하여도 이법에 의하여 고소할 수 있습니다. 신고는 112, 1366, 가까운 파출소나 경찰서등 수사기관에 할 수 있고, 상대방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수사기관이나 가정폭력이 이루어진 곳을 관할하는 수사기관에 고소를 하면 됩니다.

가정폭력으로 고소장을 작성할 때는, 최근의 가정 폭력뿐 아니라 그전에 있었던 가정폭력이나 혹은 피해자와 가해자와의 관계 등에 관하여 고소장에 자세히 기재함으로서 이번의 폭력이 우발적이거나 일회적이 아님을 가종할 필요가 있고, 상해진단서나 소견서, 멍들거나 다친 부위의 사진등을 고소장에 첨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형사절차

가정폭력사건이 발생하면 경찰이 출동하여 응급수사를 하고, 피해자가 동의하는 경우 피해자를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 또는 보호시설로 인도하고, 경찰과 검찰은 피해자 보호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법원에 신청하여 아래와 같은 임시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4. 가정폭력 범죄의 고소

신고 또는 고소 가정폭력사건은 신고 또는 고소에 의하여 시작됩니다.
피해자 본인은 물론 그 법정대리인, 누구든지 가정폭력범죄를 알게 된 때에는 이를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고, 아동의 교육과 보호를 담당하는 기관의 종사자등을 비롯한 일정한 직무수행자는 신고할 의무가 있습니다. 특히, 피해자 본인의 법정대리인이 가해자인 경우에는 피해자의 친족이 고소할 수 있습니다.

5.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경찰, 검찰의 임시조치

1) 폭력행위의 제지 및 범죄수사
2) 피해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피해자의 가정폭력관련상담소 또는 보호시설 인도
3) 긴급치료가 필요한 피해자의 의료기관 인도 ,폭력행위 재발시 격리 또는 접근금지 등의 임시조치를 신청할 수 있음을 통보

경찰의 위 1.2.3과 같은 응급조치에 불구하고 가정폭력범죄가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경우, 검사는 직권 혹은 경찰의 신청에 의하여, 법원에 임시조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6. 검사의 송치

검사는 가정폭력 범죄로서 사건의 성질, 동기 및 결과, 행위자의 성행 등을 고려하여 이법에 의한 보호처분에 처함이 상당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보호사건으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7. 법원의 가정폭력 사건에 대한 임시조치(동법29조)

법원은 가정보호사건의 원활한 조사, 심리 또는 피해자의 보호를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결정으로 행위자에게 다음 각호의 임시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1)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의 주거 또는 점유하는 방실로부터의 퇴거 등 격리
2) 주거, 직장 등으로부터 100미터 이내의 접근금지 2월내 가능, 2회 연장 최장 6개월까지 가능
3)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에 대한 전기통신기본법 제2조제1호의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금지 2월내 가능 2회 연장 최장 6개월까지 가능
4) 의료기관 기타 요양소의 위탁 1월 가능, 1회 연장 최장 2개월까지 가능
5) 경찰관서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의 유치 1월내 가능, 1회 연장 최장 2개월까지

8. 법원의 보호처분

법원은 심리의결과 보호처분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결정으로 다음 각호의 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동법 제40조. 41조)

1) 행위자가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행위의 제한(6개월 이내)
2) 행위자가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에게 전기통신기본법 제2조제1호의 전기통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행위의 제한
3) 친권자인 행위자의 피해자에 대한 친권행사 제한(6개월 이내)
4)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에 의한 사회봉사, 수강명령(200시간 이내)
5)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에 의한 보호관찰(6개월 이내)
6)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이 정하는 보호시설에의 감호위탁(6개월 이내)
7) 의료기관에의 치료위탁(6개월 이내)
8) 상담소에의 상담위탁(6개월 이내)

한편, 위 가항 및 나항 보호처분을 이행하지 않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구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동법 제63조)

9. 배상신청에 관한 특례

가정폭력의 피해자는 가정보호사건이 계속된 제1심 법원에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의 부양에 필요한 금전의 지급, 가정보호사건으로 인하여 발생한 직접적인 물적 피해 및 치료비손해 등을 청구할 수 있고, 피해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법원은 직권으로 위 배상 명령을 내릴 수 도 있습니다.(동법 제56조 내지 57)

10. 민사소송

피해자는 가정보호 사건을 심리하고 있는 법원에 부양료나 가정폭력으로 인해 발생한 물적 손해나 치료비 등을 청구할 수도 있고, 가정폭력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 및 치료비등을 민사소송을 통해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이름(가명) 성별 남자 여자 나이
혼인기간 상담종류 지역
휴대폰 -- 답변받을 변호사성별 남성변호사 여성변호사 비밀번호
상담내용작성
개인정보취급방침

동의함

  • - -
  •  / 


  • 동의함